우리나라의 건설 기술의 수준은 어느 정도 일까요? 세계에서 몇 등?
건설 기술: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다양한 구조물을 만드는 기술
건축 기술과 토목 기술로 나뉜다.
건설 기술의 특성 : 공공성, 지역성, 장기성, 일회성, 종합성
건설 기술 시스템 : [투입] - [과정] - [산출] 그리고 [되먹임]
영화 '건축학개론'의 예고편을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.
(0:30) '서연'은 첫사랑 '승민' 찾아가 집을 지어 달라고 부탁한다. '승민'은 '서연'에게 좋은 집을 지어주기 위해 집을 사는 이유, 가족 구성 등을 꼼꼼히 물어보는데 이는 건설 기술 시스템의 과정 중 어느 단계에 해당할까?
(1:00) '승민'은 본인이 구상한 형태를 '서연'에게 설명하기 위해 모형과 그림으로 표현하는데 이는 어느 단계에 해당할까?
이 공사에서 '서연'과 '승민'에 해당하는 역할을 보기에서 골라 쓰시오.
[ 보기: ㄱ. 발주자 ㄴ. 설계자 ㄷ. 시공자 ㄹ. 감리자 ]
피라미드를, 만리장성을 지금 짓는다면 얼마나 걸릴까요?
그 힘든 일을 과연 누가 해냈을까요?
건설기술의 발달
고대 : 주로 정치, 종교, 군사 등의 목적으로 건설됨. 목재, 돌, 벽돌 등을 주로 사용.
중세 : 종교적 색채가 강한 건축 구조물이 건설됨. 로마네스크, 고딕 등 다양한 건축 양식이 등장.
근대 :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대규모 건설이 이루어짐. 유리, 철강, 시멘트 등 건설 재료가 발달함. 철골 구조, 철근 콘크리트 구조 등이 등장함.
현대 : 인간 중심적, 환경 친화적 형태로 설계됨. 초고층화, 대형화 되고 있음.
이 영상 속 구조물 중 본인의 기준에 최고라 느껴지는 구조물 하나를 고르고, 그 이유를 서술하시오.
이 영상에 등장하지 않은 수많은 구조물 중 세계 최고의 건설 구조물이라 느껴지는 것 하나를 고르고, 그 이유를 서술하시오.
우리나라 최고(最高) 의 빌딩을 소개합니다.
건설 구조물의 생산 과정
건설 기획과 계획
건설 설계
건설 시공 : 착공준비 - 가설공사 - 토공사 - 기초공사 - 골조공사 - 설비 및 마감 공사 - 완공
건설 관리
'플로어플래너'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본인이 미래에 살고 싶은 집을 설계해보세요.
건축구조물 : 인간이 생활공간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만든 구조물
용도에 따른 분류 : 상업용, 공공용, 주거용
구조에 따른 분류 : 가구식, 조적식, 일체식, 특수 구조
트러스교, 아치교, 현수교, 사장교의 예를 국내, 국외에서 각각 한 개씩 찾아보세요.